논문상세
논문상세
학술지명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제목(원어)
臨産徵候에 대한 韓醫學的 考察
제목(영어)
Signs of Birth in Korean Medicine
키워드(원어)
임산징후, 분만진통, 정상출산, 한의학, 출산
키워드(영어)
signs of birth, symptoms of birth, normal birth, Korean Medicine, childbirth
저자
윤은경 ( null null 경희대학교 )
초록(원어)
Objectives : 본고는 현대의 출산 경향이 정상 출산에 대한 부분적인 지식과 왜곡된 이해로부터 비롯된다는 문제의식 하에 신체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위주로 정상 출산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했다. Method : 한의학 문헌에 나타난 임산 징후 내용을 통해 산모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그 기전을 고찰하고, 태아의 변화는 十개월째 태아의 발달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산모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Result : 임산 시에 나타나는 위와 같은 징후는 産母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반영하며, 이러한 변화는 子宮을 중심으로 관련 경맥과 장부에서 일어난다. 한편 태아 측에서도 출산을 위한 준비를 하는데, 산모가 태아를 몸 밖으로 내보내기 전까지 스스로 움직일 준비와 모...
더보기
Objectives : 본고는 현대의 출산 경향이 정상 출산에 대한 부분적인 지식과 왜곡된 이해로부터 비롯된다는 문제의식 하에 신체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위주로 정상 출산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했다. Method : 한의학 문헌에 나타난 임산 징후 내용을 통해 산모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그 기전을 고찰하고, 태아의 변화는 十개월째 태아의 발달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산모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Result : 임산 시에 나타나는 위와 같은 징후는 産母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반영하며, 이러한 변화는 子宮을 중심으로 관련 경맥과 장부에서 일어난다. 한편 태아 측에서도 출산을 위한 준비를 하는데, 산모가 태아를 몸 밖으로 내보내기 전까지 스스로 움직일 준비와 모체와 분리하기에 충분한 神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Conclusion : 출산 과정은 胎兒의 배출로 귀결되는 불필요하며 최대한 단축해야 하는 기간이 아니라 원활한 출산을 위해 필수적인 변화가 産母와 胎兒에게서 일어나는 시간이다.
줄이기
초록(영어)
Objectives : 본고는 현대의 출산 경향이 정상 출산에 대한 부분적인 지식과 왜곡된 이해로부터 비롯된다는 문제의식 하에 신체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위주로 정상 출산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했다. Method : 한의학 문헌에 나타난 임산 징후 내용을 통해 산모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그 기전을 고찰하고, 태아의 변화는 十개월째 태아의 발달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산모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Result : 임산 시에 나타나는 위와 같은 징후는 産母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반영하며, 이러한 변화는 子宮을 중심으로 관련 경맥과 장부에서 일어난다. 한편 태아 측에서도 출산을 위한 준비를 하는데, 산모가 태아를 몸 밖으로 내보내기 전까지 스스로 움직일 준비와 모체와 분리하기에 충분한 神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Conclusion : 출산 과정은 胎兒의 배출로 귀결되는 불필요하며 최대한 단축해야 하는 기간이 아니라 원활한 출산을 위해 필수적인 변화가 産母와 胎兒에게서 일어나는 시간이다.
분야
원전학
페이지구간
131 ~ 145
원문파일
정독_J1_202000046_임산징후.hwp
↓ 다운로드
CCL 라이선스
닫기